2. Which two ar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cepting Filter pattern? (Choose two.)
A. It provides centralized request handling for incoming requests.
B. It forces resource authentication to be distributed across web components.
C. It reduces coupling between presentation-tier clients and underlying business services.
D. It can be added and removed unobtrusively, without requiring changes to existing code.
E. It allows pre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on the incoming requests and outgoing responses.
<!-------------------------------------------------------------------------------------------------------------------->
위의 문제는 인터셉팅 필터에 대한 설명을 고르라는 문제입니다.
먼저 Intercepting Filter pattern의 기능을 보면,
- 서블릿에 도착하기 전 요청을 낚아채서, 수정할 수 있다.
- 응답이 클라이언트로 넘어가기 전 이를 낚아채서, 수정할 수 있다.
- 필터는 DD를 사용하여 선언적으로 배포할 수 있다.
- 필터는 모듈화되어 있어, 연결하여 실행할 수 있다.
- 컨테이너가 필터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 필터는 컨테이너 콜백 메소드를 구현해야 한다.
<!-------------------------------------------------------------------------------------------------------------------->
위의 문제는 필터의 기본적인 기능을 알고 있으면 풀 수 있을 것 같습니다.(물론 영단어도 좀 알아야;;;)
D를 해석해보면 기본에 있는 코드의 변경 없이 정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추가 또는 제거가 가능하다는 말이고,
E는 들어오는 요청이나 나가는 응답에 대해서 전처리 혹은 후처리를 허락한다는 내용이니까 맞는 말인거 같습니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